번호 | 발표자 | 논문제목 | 시간 | 장소 |
1 | 류제동(금강대 HK연구 교수) | 중국에서의 불교 수용과정에 있어서 중국인의 정체성 형 성에 대한 검토: 홍명집과 피터 버거의 노모스 이론을 중심으로 |
2008년 12월 17 일(수) 오후 3시~6 시 |
불 교 문 화 연 구 소 강독실 |
박창환(금강대 HK연구 교수) | Sautrāntikāḥ, Śrīlāta, and “Ācāryāḥ” (Yaugācārabhūmikāḥ) on the Notion of Dependent Origination (pratītyasamutpāda)intheAKBh3-28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School-affiliation of Vasubandhu’s Doctrinal Position |
2 | 석길암(금강대 HK연구 교수) | 6세기 후반 中國佛敎의 佛性論과 心識說 (The Notions of Buddhahood and Consciousness in the late 6thCenturyChineseBuddhism) |
2009년 1월 21일 (수) 오후 4시~6시 |
본관 3층 국제 회의실 |
이영진(금강대 HK연구 교수) | 하리바드라의 눈을 통해 본 現觀莊嚴論 序章에 관하여 (On the Introductory Portion of the Abhisamayālaṃkāraprajñāpāramitopadeśaśāstra through Haribhadra’s Eyes) |
3 |
최은영(금강대 HK연구 교수) | 초기 중국불교에 나타난 소승불교의 이해 –「出三藏記 集」을 중심으로 - (The Conception of “Hīnayāna Buddhism” in Early Chinese Buddhism- With Special Reference to Ch’usan-tsangchichi) |
2009년 2월 18일 (수) 오후 4시~6시 30분 |
본관 3층 국제 회의실 |
차상엽(금강대 HK연구 교수) | 九種心住의 전개양상과 티벳불교의 수용 – 쫑카파의 Lam rim chen mo를중심으로 (The Formation of the Notion of Navākāracittasthiti and its Tibetan Reception) |
4 | 백도수(불교문화연구소 울너프로젝트 연구원) | 팔리 논장의 論母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Mātikā in the Abhidhamma Piṭaka) |
2009년 3월 18일 (수) 오후 3시~6시 |
본관 3층 국제 회의실 |
김성철(금강대학교 HK 교수) | 초기 유가행파의 "여래장"개념 해석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concept of Tathāgatagarbha in Early Yogācāras) |
유제동(금강대학교 HK 연구교수) | 지둔(支遁)의 공 이해 (Zhidun’s Understanding of Śūnyatā) |
5 | 조석효(금강대 박사과 정) | 중국의 티벳학 현황과 전망 – Rig gnas bcu를 중심으 로 |
2009년 4월 22일 (수) 오후 3시~6시 30분 |
본관 2층 대회 의실 |
하유진(서강대) | : "진송(晋宋)시기 중국불교 이제설의 수용-유무(有無) 개 념과 관련하여" |
심재관(금강대학교 HK 연구교수) | 헤라클레스, 인드라 그리고 바즈라빠니: 재고찰 |
박창환(금강대학교 HK 연구교수) | 經量部의 “인식 대상”(所緣ālambana) 개념에 대한 소고 |
6 | 울릭 팀메 크라우 (Ulrich Timme Kragh: 금강대 HK교 수) | 불교주석문헌에서의 의고(擬古)주의: 中論 인도주석서들 에 보이는 유사 註解를 중심으로 (Classicism in Commentarial Writing: Exegetical Parallels in the Indian Mūlamadhyamakārikā Commentaries) |
2009년 5월 20일 (수) 오후 3시~6시 |
본관 2층 대회 의실 |
야마구치 히로에 (山 口弘江 금강대: HK교 수) | 중국에 있어서 『유마경』해석의 변천에 관한 일고찰 – 維 摩詰의 어의를 중심으로 (中国における『維摩経』解釈の変 遷に関する一考察―「維摩詰」の語義を中心として―) |
이상민(고려대 대학원) | 『大乘起信論同異略集』에 나타난 8식 구조의 理(誤)解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