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울너 필사본 연구 프로젝트 > 울너 프로젝트 > 진행과정

진행과정

본 프로젝트의 핵심 과제는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영어 카탈록을 작성하는 것이다. 이 카탈록이 제공하는 정보 역시 국제적인 기준과 약속에 의거해서 작성되어야 한다.

  • ① 현재까지 출판된 카탈로그 중에서 모범적인 사례를 검토하였다.
  • ② 사본 학자들 사이에 통용되는 약호 내지는 합의된 사항을 울너프로젝트에 적합하게 조정한다.


사본들은 일정한 형식에 의거해서 작성되거나 통일된 것이 아니라 다양한 시대와 지역적 특성에 따른 고유한 측면, 그리고 필사자의 개인적 성향이나 취향 등으로 인한 편차가 많다. 금강대 연구팀은 아래의 도표와 같은 분석표를 만들고 이것에 의거해서 사본을 분석하였다.

본 도표는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국제적인 범례보다 더 상세히 사본에 대한 정보를 수록할 수 있다.

학파명   촬영자   분석자  
Access No.   Catalogue No. (Vol. , p. ) Further Numbers  
Title Author
Catalogue   Catalogue  
Label   Label  
Given in Colophon   Given in Colophon  
Unified Standard   Unified Standard  
Material Paper Script Devanagari Year: According to Catalogue, Label, Colophon
Writing Style: Printed() Cursive() Ornamental () Number of Scribe 1
Condition EX() VG() G() P() If damaged Rat eaten() Worm eaten() By moisture() Worn() Broken()
If partly illegible: Beginning() Middle() Ending() Place:  
Extent Complete() Incomplete() Fragmentary() According to Catalogue() Label() MS() Specific Features Binding() Fold() Etc() String hole(Place: )
 
Folios Number According to Catalogue, Label, MS Lines( ) Aksharas( )
Ff.() Omit(f. or ff.) Size (×) (×)
Supple. Folio:
Da??a Sg() Db() H() Hdb() Line Filling:
Dc() Dcdb() Mx() without() Punctuation:
Pagination Folio Numbering Place() Script() Specific Features()
Abbreviated Title Abbreviation() Place() Script() Specific Features()
Auspicious Elements Place() Script() Specific Features()
Text marking Place: Red() Yellow() Black() Ornamental Sign Place: Frequency:
Marginalia Place() Script() Frequency()
Specific Features
Corrections/ Deletions Correction Method:
Deletion Mark:
First Ma?gala (F.1 r/v, )
Preliminary (F.1 r/v, )
Beginning (F.1 r/v, )
Last Last (F. r/v, )
Colophon (F. r/v, )
Post-Colo (F. r/v, )
Additional (F. r/v, )
Specific Features:

사본 분석을 위한 작업 시트

문자 분석과 목록

산스끄리뜨는 한글이나 영어의 알파벳과 달리 무수히 다양한 결합자음을 형성하고 또 필사자의 성향에 따른 異體로 인해 오독의 가능성과 판독의 어려움이 상존한다. 특히 울너 프로젝트에서 다루는 사본은 한두 의 필사자에 의해 작성된 것이 아니라 모두 다른 필사자에 의해 작성되었기 때문에 새로운 사본을 분석할 때마다 위의 난점을 야기한다. 결합자음이나 모음의 형태들에 대한 데이타베이스가 있다면 그만큼 시간이 절약될 뿐만 아니라 오독의 가능성도 줄어든다. 따라서 연구자는 사본을 분석하면서 이와는 별개로 '공유할 수 있는 데이타'를 만들었다.

카탈록의 개정판 출판

1932년과 1941년에 펀잡대학에서 카탈록이 출판되었지만 아주 기본적인 내용만 담고 있고 데바나가리로 작성되어 가독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결정적으로는 실제 사본에 접근할 수 있는 Access 번호가 누락되어 있다. 현 필사본의 Access 번호가 카탈록 출판 이후 붙여졌기 때문인 듯하다. 카탈록의 일련 번호와 Access번호는 일치하지 않으므로 Access 번호가 없는 카탈록은 한계를 지닐 수밖에 없다. 또한 기존의 카탈록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① 오류: 책제목과 저자의 오류 그리고 오탈자 문자에 대한 오류가 발견된다.
② 묶음의 경우(또는 한 필사자가 여러 사본을 필사한 경우)

필사본은 저마다의 고유한 번호를 지니고 있지만 방대한 사본들 가운데 중복되는 번호들이 있다.
이 사본들의 특징은 제본된 상태가 아니지만 한권의 묶음이라는 것이다. 2-3개 많게는 5개의 사본이 하나의 번호로 묶여 있는 이유는 1명의 필사자가 여러 개를 필사한 경우로 보인다.

예를 들면 Access No. 2627의 경우엔 3개의 사본이 있다.

413 Yogalakshana Yoga
2762 Brahmastuti Vedanta
2897 Vedastuti Vedanta  

여기서 카탈록 번호 413번 Yogalakshana는 요가학파에 속하는 문헌이고 나머지 두 개는 베단따 학파에 속하는 문헌이다. 기존 카탈록의 문제는 성격이 다른 세 개의 사본이 동일한 한 개의 Access번호 내에 있다는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 경우 사본실에서 촬영하는 사람은 카탈록 번호 2762brahmastuti과 2897 vedastuti은 분실된 것으로 오해될 수 있다.
따라서 새롭게 출판되는 내용은 최소한 다음의 내용을 포함해야 할 것이다.  

번호 카탈록 번호 Access No. 서명 폴리오수 문자 Remarks
1. 4132627 Yogalakshana 3 Dv.bhagavat,skam. 10, a, 3
2. 27622627 Brahmastuti 6 Dv.bhagavate,skanda. 10.a. 14
3. 28972627 Vedastuti 6 Dv.bhagavata,skanda. 10. a. 87   현재까지 울너 연구팀은 2권의 카탈록 내용을 입력하였으며, Access No.를 별도로 기재하였다.
금년 하반기부터는 교정작업과 개정작업을 병행하며 교정이 끝난 후 개정판을 출판할 예정이다.

Ⅱ-4. 사본 교육

울너 필사본은 데바나가리 문자 외에 샤라다, 벵갈리, 말라얄람, 케랄리, 타밀을 비롯한 다양한 문자와 언어로 작성되었으므로 인도 문자에 대한 전문 교육이 필요하다. 현재 울너 연구팀에게 가장 시급한 과제는 사본을 다루고 분석하는 테크닉 및 사본학 관련 전문 용어와 접근 방식을 익히는 것이다. 물론 해외에 출판된 사본학 관련 서적이 있지만 그 내용은 원론적 수준을 넘어서지 않는다. 그것은 사본이 정형화된 것이 아니라 저마다의 고유성과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일정한 틀이나 공식으로 유형화될 수 없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사본은 공식에 의해 접근되는 것이 아니라 개별적이고 독자적 형태 그 자체 즉, Case by Case로 접근된다고 할 수 있다. 이 점에서 사본 연구를 앞당길 수 있는 비결은 다양한 사본을 오랫동안 다룬 경험 많은 전문가의 노하우를 직접 배우는 것이라 할 수 있다.